'복학 압박' 강경한 정부와 대학…의대생 "통계 허수 무시 못 해"

'복학 압박' 강경한 정부와 대학…의대생 "통계 허수 무시 못 해"

  • 박양명 기자 qkrdidaud@naver.com
  • 승인 2025.03.25 12:23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학들, 학생 복귀율 보안 유지 철저…교육부도 정확한 수치는 미공개
의대생, 연일 오프라인 회의하며 대응책 논의…대통령 탄핵 결과 변수

ⓒ의협신문
ⓒ의협신문

휴학한 의대생에 대한 정부와 대학의 복귀 압박이 강경하다. 교육부는 연일 제적을 당해도 구체책이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데다, 대학도 등록하지 않은 학생에게 문서로 제적으로 예고했다.

대학마다 학생들의 복귀 현황을 철저히 비밀에 부치면서 의대생의 혼란은 가중되고 있다. 의대생 일각에서는 정부 발표가 언론플레이를 위한 것이라며 실제 복귀자는 많지 않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25일 의료계에 따르면, 교육부 입장은 확고하다. 이달 말까지 의대생은 모두 학교로 돌아와야 하고, 그래야지만 내년도 의대정원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는 것이다. 

전날 오전 정례 브리핑에서도 "올해는 더 이상 대규모 학사 유연화를 하기 어렵다"라며 "교육이 어렵기 때문에 못 돌아온다고 하는데 그럴수록 빨리 와야 한다. 의료계에서 말하는 2026학년도에 학생을 선발하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단언했다.

연세의대 학생 복학률이 절반에 가깝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도 "맞다"고 재확인했다. 다만 교육부 역시 정확한 숫자를 파악하기보다는 휴민트를 작용한 결과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김홍순 의대교육지원관은 "정확한 수치는 아니지만 퍼센티지로 확인했는데 과반이 복귀했다고 보도한 언론기사는 맞다"라고 했다. "기사에 나온 수치가 개인적으로 확인한 수치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도 했다.

대학은 학생 복귀율을 극비에 부치고 있다. 돌아온 학생들을 보호하고 다른 대학에 파급력을 우려한 결정이다. 다만 미복귀자에 대한 조치는 강경한 입장이다. 

경북대, 고려대, 연세대, 차의과대는 1학기 등록 마감날이 21일로 가장 빨라 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 연세대는 "21일까지 복학 신청이 되지 않으면 28일 제적 처리 하기로 했다는 기존 입장에 변화가 없다"는 점을 학생들에게 안내했다. 고려대와 차의과대 역시 문자메시지와 이메일로 제적 대상이라는 점을 예고할 예정이다.

이처럼 강경한 분위기 속에서 의대생은 구체적인 복귀자 숫자는 정부의 언론플레이라고 일축하며 단일대오를 굳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의과대학 학생 대표들은 연일 오프라인 회의를 가지며 대응책을 논의하고 있다.

서울 한 의대 학생은 "우선 다른 대학의 조치를 지켜봐야 할 것 같은데, 학교 차원에서 복귀율을 전혀 알려주지 않아서 분위기를 알 수가 없는 상황"이라며 "언론 보도에서처럼 과반까지는 아니라고 본다. 군 휴학, 25학번 등록 등 허수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단순 복귀율로만 따져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전라권 한 의대 학생도 "일단은 단일대오를 유지하고 있다. 적어도 대통령 탄핵 선고 전까지는 입장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