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보건환경연구소(소장 문옥륜,서울대보건대학원장) 주최로 24일 서울대보건대학원에서 열린 '바이오 테러리즘생물학적 테러 위협에 관한 대응' 주제 학술대회에서 주제발표와 패널토의에 참여한 학자와 전문가들은 국내 세균테러에 대한 준비가 미흡하다며 정부 지원하에 민·관·군의 대응체계를 수립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강명근 교수(이화의대 예방의학)는 '외국의 대응:현황과 과제' 주제발표를 통해 "현재의 과학 기술 능력을 감안할 때 유전자 조작을 통한 생물무기에 대한 효과적이고 완전한 대비는 있을 수 없다"며 "가장 중요한 대비 및 대응 요소인 보건의료 분야와 민간차원의 준비수준이 너무 낮다"고 지적했다.
강 교수는 "생물무기 사용의 가장 큰 동기 중 하나는 사회가 쉽게 안정을 잃어버리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며 사회불만세력을 원천적으로 없애기 위한 건전한 사회복지정책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교수는 특히 "정부의 지원아래 각 학회를 비롯한 의료계를 중심으로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정순 서울대 명예교수는 '생물테러의 발생가능성과 위해' 주제발표를 통해 "내년에 개최되는 아시안게임과 월드컵 등 큰 행사를 앞둔 상황이므로 생물테러에 대한 대비책을 서둘러야 한다"며 "생물무기 위해에 대한 홍보와 교육을 중심으로 진단, 치료, 방역 등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의료인을 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종구 국립보건원 방역과장은 "복지부와 경찰청, 국방부, 국정원, 행자부, 의료계를 포함한 범국가적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의료인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가 생물테러 발생시 피해를 극소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열쇠"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