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스코틀랜드 양국 바이오산업 협력 강화

한국-스코틀랜드 양국 바이오산업 협력 강화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승인 2011.09.28 16:12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코틀랜드국제개발청 '바이오 코리아 2011' 행사 참여
국내 바이오 산업의 잠재력 인정…활발한 상호 협력 방안 모색

전통적인 바이오 강국 스코틀랜드의 세계적인 생명 과학 기업들이 한국-스코틀랜드 두 나라의 바이오산업 교류 활성화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28일~30일까지 서울시 코엑스에서 열리는 '바이오 코리아 2011'에 참가한다.

아시아 최대 규모의 바이오산업 국제 행사인 이번 '바이오 코리아 2011'에는 스코틀랜드의 통합약물 개발 그룹인 알막그룹(Almac Group)을 비롯, 바이오 시약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던디셀 프로덕트(Dundee Cell Products), 신약 개발 안전 검증 업체 비트롤로지(Vitrology)와 솔리드 폼 솔루션(Solid Form Solutions), 신약 개발 업체인 아반티셀(AvantiCell Science Ltd), 항암제를 개발하는 스코티시 바이오메디컬(Scottish Biomedical), 그리고 API 개발, 오메가 -3 농축 기술을 갖고 있는 이쿠아텍(Equateq) 등 7개 업체가 참석할 예정이다. 이들 모두 최고의 기술력과 함께 독특한 바이오 트렌드 창출로 관련 업계 내 선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스코틀랜드는 페니실린·마취약의 발견에서부터 CAT, MRI 스캐너의 발명, 복제양 돌리에 이르기까지 생명과학 연구 및 개발 분야에서 최고의 역량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유럽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생명과학 클러스터(cluster)를 보유하고 있는 바이오 강국이다.

스코틀랜드의 바이오 산업은 연간 30% 이상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많은 스코틀랜드 기업들이 국내 기업들과 공동 연구 등 활발한 교류를 하고 있다.

장헌상 스코틀랜드국제개발청 대표는 "스코틀랜드 정부는 국제 협력 및 생명과학 산업에 대한 투자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스코틀랜드 두 나라가 투자를 통한 협력관계를 수립해 성장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에서 적극 지원하고 있다"며 "이번 '바이오 코리아 2011'기간 동안 국내 제약사 및 바이오 기업들과 바이오 산업의 선두주자인 스코틀랜드 기업과의 활발한 논의를 통해 지속적인 바이오 강국 도약을 위한 시너지가 만들어 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세계 생명과학 연구개발의 중심지로 부상한 스코틀랜드는 전문성 있는 클러스터를 개발해 상호 협력과 혁신을 촉진하고 외국 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에딘버러와 던디, 글래스고를 세 축으로 삼각지대를 이루는 클러스터에서는 현재 약 630여개의 바이오기업, 수십개의 연구기관, 그리고 약 3만 2500명의 과학자들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이 중 에든버러 바이오 쿼터는 스코틀랜드 생명과학 산업 지원을 위한 경제 전략의 대표적인 사례로써 약 12억달러의 공공 및 민간 자본을 투자해 1200명에 달하는 수많은 연구원들과 다양한 규모의 바이오텍 및 생명과학 기업들을 연결해 서로 긴밀히 협력할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다.

이같은 스코틀랜드 내 생명과학 기업들의 매출액은 약 28억파운드(한화 5조 2000억원)로 추정되며, 총 부가가치액의 경우 매년 7~8%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스코틀랜드의 바이오 쿼터 내 기업체들은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역량을 접하는 동시에 창업 서비스 및 자금 조달·법률·사업 허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새로운 기술과 신약 개발을 위한 모범적인 벤치마킹 사례로 여겨지고 있다.

한편, 바이오 코리아 행사 기간 중 스코틀랜드국제개발청 부스에서는 방한한 스코틀랜드 기업들과 잠재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기업이나 방문자를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스코틀랜드를 대표하는 위스키를 증정하는 등의 이벤트가 열린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