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기콩팥병 발병률 늘었지만 사망률 크게 줄어

말기콩팥병 발병률 늘었지만 사망률 크게 줄어

  • 이영재 기자 garden@kma.org
  • 승인 2024.04.15 11:24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신장학회, '말기콩팥병 팩트시트 2024' 발표
당뇨병 원인 말기콩팥병 증가 속도 세계에서 가장 빨라
환자 대부분 혈액투석 이용…재택치료 가능 복막투석 비율 감소
말기콩팥병 관리·치료 법제화 필요…의학 지식·기술 발전 사망률 낮춰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가 '말기콩팥병 팩트시트 2024'(End Stage Kidney Disease Fact Sheet 2024)를 발표했다.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가 '말기콩팥병 팩트시트 2024'(End Stage Kidney Disease Fact Sheet 2024)를 발표했다.

지난 10년동안 말기콩팥병 발병률은 2배 이상 늘었지만, 사망률은 크게 감소했다. 당뇨병콩팥병에 대한 의학 지식·기술 발전과 의료진 경험 축적으로 인한 숙련도 증가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가 <말기콩팥병 팩트시트 2024>(End Stage Kidney Disease Fact Sheet 2024)를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말기신부전 팩트시트는 2010년∼2022년 대한신장학회 말기콩팥병 등록사업(Korean Renal Data System, KORDS)에 등록된 전국 규모의 방대한 환자 자료를 분석한 것으로, 국내 말기콩팥병 환자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다.

말기콩팥병 발병률은 2022년 기준 인구 100만명 당 360.2명으로 2010년에 비해 2배이상 증가했으며 세계에서 3번째로 높다. 말기콩팥병 환자의 평균 나이는 57세(2014)에서 66세(2022)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2022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 환자의 분포가 59%로 전체 말기콩팥병 환자의 절반을 넘었다.

말기콩팥병의 주요 원인 질환은 당뇨로 전체 원인 질환의 48%를 차지했다. 당뇨병으로 인한 말기콩팥병 발병 증가 속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

말기콩팥병의 치료로는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이 있는데 혈액투석 치료를 받는 환자가 84%로 가장 많았고,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는 11%, 복막투석 환자는 6%였다. 특히 혈액투석 치료 비중이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한 반면 재택치료가 가능한 복막투석 치료 비율은 감소했다.

말기콩팥병 사망률은 크게 줄어 2010년 1000명당 연간 사망 환자 수는 62명에서 47명(2020)으로 감소했다. 

당뇨병이 있는 경우 2010년 1000명당 연간 사망 환자 수는 76명으로 당뇨병이 없는 환자에서의 46명 보다 많았다. 하지만 2020년에는 당뇨병이 있는 환자의 1000명당 연간 사망 환자 수는 46명으로 대폭 줄어 당뇨병이 없는 환자에서의 1000명당 연간 사망 환자 수(43명)와 비슷했다. 

신장학회는 "발전된 당뇨병콩팥병에 대한 의학 지식 및 기술 발전과 의료진의 경험이 축적으로 인한 숙련도 증가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고 진단했다.

김용균 대한신장학회 등록이사(가톨릭의대 교수·성빈센트병원 신장내과)는 "말기콩팥병 팩트시트 2024는 우리나라 말기콩팥병의 심각성과 현황을 일반 국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고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정확한 자료를 쉽고 직관적이며 시각적으로 구성했다"면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말기콩팥병 환자의 삶의 질과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말기콩팥병 관리 및 치료를 체계화하는 법제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춘수 대한신장학회 이사장(서울의대 교수·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신장내과)은 "이 자료는 지난해 신장학회가 천명한 향후 10년간의 콩팥건강 개선 계획인 '국민콩팥건강 개선안(Kidney Health Plan) 2033'을 완수하기 위한 기본 자료가 될 것"이라면서 "이 자료를 토대로 신장학회와 정부가 만성콩팥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길을 모색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팩트시트는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에서 1987년 이후 해마다 국내 말기콩팥병 환자 전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됐으며, 대한신장학회 홈페이지(https://ksn.or.kr/bbs/?code=Factsheet)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