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 위고비 미디어세션…주요 임상적 가치 공유
주 1회 GLP-1 수용체 작용제…체중 감량·심혈관계 위험 감소 혜택 조명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은 21일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티드) 미디어세션을 열고, 세마글루티드 기반 GLP-1 수용체 작용제로서 비만 치료에서의 임상적 가치를 공유했다.
이날 미디어 세션에서는 임수 서울의대 교수(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는 '비만치료의 새 지평을 연 GLP 1 으로서 위고비의 임상적 가치' 발제를 통해 GLP-1 수용체 작용제로서 비만환자 대상 세마글루티드 2.4㎎의 특징과 체중 감량 효과를 설명했으며, 윤종찬 가톨릭의대 교수(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는 '체중감량을 넘어, 주요 심혈관계 위험 감소 혜택을 입증한 비만치료제 위고비' 발제에서 주요 심혈관계 질환 위험 감소 효과의 의미 등을 짚었다.
이를 통해 비만치료의 패러다임이 체중 감량을 넘어 전반적인 건강 관리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줬으며, 아시아인 대상 세마글루타이드 2.4㎎ 연구의 임상 데이터, 아시아인과 서양인 간 비만 기준의 차이, 비만 관리에서 조기 개입의 중요성을 제기했다.
줄리 브로에 오노레 시니어 CMR(Clinical, Medical and Regulatory) 디렉터는 "노보 노디스크는 비만을 다양한 대사질환과 심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하는 만성 질환으로 인식하고, 지난 20년 이상 비만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 왔다. 광범위한 임상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세마글루티드 2.4㎎은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다"라면서 "우리에게 환자 안전은 최우선의 가치로, 초기 연구단계부터 체중 관리를 넘어 비만 환자들의 건강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뒀다. 세마글루티드 2.4㎎이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성인 비만 환자에서 주요 심혈관계 위험(MACE) 위험의 20% 감소를 보여주었다는 것은, 임상적 관점에서는 식이요법 및 신체 활동 증대와 함께 사용되는 치료 옵션으로서 체중 관리와 주요 심혈관계 질환 위험 감소를 모두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만 치료에 있어 의미 있는 진전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임수 교수는 비만치료의 새 지평을 연 GLP-1 수용체 작용제로서 세마글루티드 2.4㎎의 임상적 가치를 되새겼다.
임수 교수는 "국내 성인 비만 유병률은 2022년 기준 38.4%로, 남성은 10년 전 대비 약 1.3배 증가했으며, 특히 BMI 30kg/㎡ 이상 고도비만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비만이 단순 체중 증가를 넘어 다양한 대사질환과 심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하는 만성질환으로 인식되면서, 적극적 치료 개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라면서 "GLP-1은 음식 섭취 후 위장관에서 분비되는 인크레틴 호르몬으로, 뇌의 중추신경에 작용해 대사와 에너지 항상성을 조절한다. 세마글루티드 2.4㎎은 인간 GLP-1과 94% 서열 상동성을 가지고 있는 GLP-1 수용체 작용제로, 뇌에 직접 작용해 포만감 및 팽만감을 증가시켜 식욕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배고픔과 음식 섭취를 줄인다"고 강조했다.
세마글루티드 2.4㎎은 STEP 1, 6 임상연구를 통해 유의미한 체중 감량 효과와 안전성을 보여줬다.
먼저 최소 한 번 이상의 자가보고한 식이요법으로 체중 감량에 실패한 이력을 가진 BMI 30kg/㎡ 이상 또는 BMI가 27kg/㎡ 이상이면서 한 가지 이상의 체중 관련 동반질환이 있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 이중 맹검, 위약 대조, 무작위 배정 STEP 1 연구에서 세마글루티드 2.4mg 투여군은 68주 후 기저치 대비 평균 체중 변화에서 14.9%의 체중 감소를 달성했다, 또 선택적 보조 2차 평가 변수인 15% 이상의 체중 감소를 달성한 환자 비율은 50.5%에 달했다.
STEP 6 임상연구는 최소 한 번 이상의 자가보고한 식이요법으로 체중 감량에 실패한 이력을 가진 한국(18세 이상, n=41), 일본(20세 이상, n=360)의 성인 중 BMI가 27kg/㎡ 이상이면서 체중 관련 동반질환이 두 가지 이상이거나, BMI가 35kg/㎡ 이상이면서 체중 관련 동반질환이 한 가지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 이중 맹검, 위약 대조, 무작위 배정 연구다. 세마글루티드 2.4mg 투여군은 1차 평가 변수인 68주 후 기저치 대비 평균 체중 변화에서 13.2%의 체중 감소를 달성했다. 또 주요 2차 평가 변수인 15% 이상의 체중 감소를 달성한 환자 비율은 41%에 달했다.
임상연구에서 확인된 세마글루티드 2.4㎎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기존 GLP-1 수용체 작용제 연구와 유사하게 보고됐다. 세마글루티드 2.4㎎ 투여군에서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이상반응은 오심, 설사, 구토, 변비 등의 위장장애였으나, 이런 이상반응은 일반적으로 일시적이고 경미하거나 중등도였으며, 영구적인 치료의 중단 없이 해결됐다.
임수 교수는 "세마글루티드 2.4㎎은 글로벌 임상연구에서 개선된 체중 감량 효과와 양호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보여줬을 뿐만 아니라, 주 1회 투여라는 편의성까지 갖췄다"라면서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세마글루티드 2.4㎎의 효과와 안전성에 더해 향후 긍정적인 리얼월드 데이터까지 축적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윤종찬 교수는 체중감량은 물론 주요 심혈관계 사건의 위험 감소 혜택을 보여준 세마글루티드 2.4㎎의 효과를 짚었다.
윤종찬 교수는 "심혈관계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며, 특히 비만은 그 위험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라면서 "1990년∼2015년 세계 195개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비만 관련 사망의 약 3분의 2가 심혈관계 질환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세마글루티드 2.4㎎은 SELECT 연구를 통해 45세 이상 성인 환자 중 확증된 심혈관계 질환이 있고 BMI가 27kg/㎡ 이상인 환자의 주요 심혈관계 사건 위험을 감소시켰다. 연구 결과, 평균 39.8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세마글루티드 2.4㎎ 투여군의 주요 심혈관계 사건 위험은 위약군 대비 20% 유의하게 감소했다.
윤종찬 교수는 "SELECT 연구 결과는 비만의 치료 목표가 단순한 체중 감량을 넘어 주요 심혈관계 사건 위험 감소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