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줄기세포치료제 역사에 큰 획 긋다

한국 줄기세포치료제 역사에 큰 획 긋다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승인 2011.01.07 11:19
  • 댓글 3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현수 FCB파미셀·FCB투웰브 대표

 
국민을 내 가족처럼, 환자를 내 생명처럼'을 내건 대한의사협회 제33차 종합학술대회(대회장 경만호·대한의사협회장)가 2011년 5월 13∼15일 서울그랜드힐튼호텔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종합학술대회 조직위원회(조직위원장 김성덕·대한의학회장)와 <의협신문>은 33차 학술대회를 맞아 '릴레이 탐방 33인-진료실 밖에서 한국의료의 길을 묻다'를 기획했습니다.

이번 릴레이 탐방은 의사회원 가운데 진료실 밖으로 나가 새로운 세계를 개척한 주인공을 만나 ▲다른 길을 걷게 된 동기 및 배경 ▲일하면서 느끼는 보람 ▲외부에서 바라 본 의사 사회 ▲의사 회원에게 하고 싶은 말 등을 들어봄으로써 한국의료와 의사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획입니다.

종합학술대회 직전까지 연재되는 '릴레이 탐방'에 독자여러분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편집자 주>

▲ 심근경색질환의 세계 최초 줄기세포치료제 상용화를 시작으로 척수손상, 뇌경색 치료제가 출시를 앞두고 있어 난치병에 시달리는 환우와 환우가족들에게 큰 희망이 되고 있다.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는 각종 난치성 질환을 이제는 미리 보관된 자신의 줄기세포로 만든 자신만의 맞춤형 치료제로 대비할 수 있게 된 것은 우리나라 바이오 역사에 중요한 획을 긋는 일이다.ⓒ의협신문 김선경
김현수 FCB파미셀·FCB투웰브 대표는 골수혈액에서 분리한 중간엽줄기세포를 배양해 이를 심장·뇌·척수 등 난치성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을 개발하는 연구를 10여년간 해왔다. 치료제 개발을 위해 노력한 결과 곧 세계 최초의 줄기세포치료제 출시를 앞두고 있다.

연세대 원주의대를 졸업한 김 대표는 아주대병원에서 교수로 재직할 당시 골수이식팀을 만드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아주대병원에서 줄기세포 연구를 왕성하게 하던 중 충분히 경쟁력이 있겠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실제로 임상의사로서 환자들에게 줄기세포치료제를 사용했던 경험이 자신감을 줬다.

"줄기세포치료제가 의약품으로 관리가 되지 않았을 때에는 대학에서 의사의 판단에 의해 환자에게 자유롭게 줄기세포치료제를 사용할 수 있었는데, 2002년 의약품으로 지정되면서 환자에게 시술하는 것에 많은 제한이 있었다"는 김 대표는 회사를 설립해 제대로된 치료제를 개발하기로 결심했다.

아주대병원을 그만두고 회사일에 전념할 때 모교인 연세대 원주의대에서 겸임교수를 맡아달라는 연락이 왔다. 줄기세포연구를 위한 배려였다. 이 때문에 김 대표는 대학과 회사 양쪽에서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에 몰두할 수 있었다.

"중간엽줄기세포가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범위가 넓더라구요. 뇌·신경·심장질환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판단한 것이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게 한 배경이 됐다"는 김 대표는 "3~4년 걸릴 것이라고 예상한 치료제 개발이 10년정도 걸릴 줄 몰랐다"며 그동안 함께 어려움을 극복한 직원들의 도움이 컸다고 말했다.

줄기세포치료제는 크게 유도만능줄기세포치료제·배아줄기세포치료제·성체줄기세포치료제 3개로 분류된다. 이중 성체줄기세포치료제는 조혈줄기세포와 간엽줄기세포로 나뉘는데 김현수 대표는 간엽줄기세포 연구를 통해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김 대표는 "환자로부터 골수를 채취해 중간엽줄기세포를 분리 및 대량배양하고, 간엽줄기세포치료제 완제품을 만들게 된다"며 골수에서 추출한 줄기세포치료제 제조과정을 설명했다. 또 "이 방법은 통증없이 쉽게 추출이 가능하며, 최상의 세포배양(제조) 기술과 최적의 품질관리 등 기술력을 확보한 것이 FCB파미셀의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2002년 줄기세포치료제 연구를 위해 '파미셀'이라는 회사를 설립하고, 줄기세포 보관을 위한 회사인 'FCB'도 만들었다. 그리고 이 두 회사를 'FCB파미셀'로 합병했다.

▲ ⓒ의협신문 김선경
한편 상업화에 대한 임상이 끝나고 공장준공 등을 위해 의류업체인 '로이'라는 회사를 인수하고 'FCB투웰브'라는 회사도 만들었다. 이후 FCB파미셀은 줄기세포치료제 연구개발에 주력해 왔으며, FCB투웰브는 줄기세포 분야 마케팅을 담당해 왔다. 

김 대표는 그동안 분리 운영해 오던 'FCB파미셀'과 'FCB투웰브'를 다시 합병키로 2010년 결정했으며, 올해 '파미셀'(PHARMICELL) 주식회사로 명칭을 바꾼다.

김 대표는 " 300억원의 R&D 비용을 투자한 결과 급성심근경색치료제(하티셀그램-AMI)를 개발하게 됐고, 이제는 두 회사의 합병으로 FCB투웰브가 명실공히 바이오대표기업으로 새롭게 태어나게 된 것"이라며 "앞으로 줄기세포치료제의 상용화와 난치성 질환치료제 연구개발을 통해 글로벌 제약회사로 도약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FCB파미셀은 현재 식약청 허가를 앞두고 있는 '하티셀그램-AMI' 외에도 급성 뇌경색 줄기세포치료제인 '세레셀그램-스트로크', 만성 척수손상 줄기세포치료제 '세레셀그램-스파인'에 대해서도 상업화 임상 3상과 2/3상 시험을 각각 진행 중에 있으며 2012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들 줄기세포치료제도 심근경색 줄기세포치료제와 유사한 방식으로 임상시험 진행상황에 따라 품목허가를 위한 상업화 과정을 진행할 계획이다.

김 대표는 국내 세포치료제전문가 양성을 위한 노력도 하고 있으며, 국내 최다임상 경험을 통해 전세계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또 국내외 줄기세포 전문병원을 설립하고, 성체줄기세포치료제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를 만드는 것도 목표로 정했다. 공동연구와 전략적 제휴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김 대표가 이처럼 치료제 개발에 열심히 뛰어든 이유는 의사로서 선배이기도 했던 아버지의 영향이 컸다.

"의사로서의 책임감이 중요하다는 것을 가르쳐준 분이 바로 아버지인데, 어렸을 때 아버지는 늘 의사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일러주셨고, 거짓말을 해서는 안되며 약에 대해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이 알아야 한다고 했어요."

"조금이라도 환자에게 최선을 다하지 않을 때 두려움이 있더라구요. 그런 것들이 지금 내가 치료제 개발을 하는 원동력이 된 것 같아요." 김 대표가 최선의 치료를 위해 직접 치료제를 개발에 뛰어든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현재의 줄기세포치료제보다 더 향상된 치료제을 개발할 것"이라는 김 대표는 "100점짜리 치료제는 없기 때문에 계속 완벽해지는 치료제을 개발하는 것이 꿈"이라고 말했다. 10년만에 결실을 곧 맺는 심근경색 줄기세포치료제. 앞으로 60만명의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될 만큼 시장성도 크다.

김 대표는 "제약사와 의사들이 경계를 긋기보다는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인식을 많이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또 "의사들이 진료실만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진출해 사회에 기여하고 힘을 키워갔으면 한다"는 말도 잊지 않았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