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묶음 수가제' 추진?…"1차 의료기관 현실 반영 못한 정책"

'묶음 수가제' 추진?…"1차 의료기관 현실 반영 못한 정책"

  • 박승민 기자 smpark0602@gmail.com
  • 승인 2025.01.16 17:22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내과의사회, 원점 재논의 촉구 "환자 치료 환경 제한해"

ⓒ의협신문
ⓒ의협신문

내과 의사들이 정부가 추진하는 '묶음별 수가' 도입에 반대 입장을 표명, 원점 재검토를 촉구했다. 환자들에게 최적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저해한다는 이유에서다. 

대한내과의사회는 16일 성명을 발표, "'묶음별 수가' 제도가 1차의료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는 정부의 논리에 취지는 일부 공감하지만, 방식과 세부 내용이 의료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반대했다. 

▲환자 맞춤형 치료 저해 ▲1차 의료기관의 과중한 진료 부담 가중 ▲의료기관의 재정적 압박 강화 등의 이유에서다. 

'묶음별 수가' 제도를 환자의 진료 과정에서 상담, 진단, 치료 등의 필요성을 일률적인 패키지로 묶어 수가를 정하는 제도라고 설명한 내과의사회는 "의료진이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유연성을 심각하게 제한한다"고 비판했다. 

해당 제도를 분만 인프라와 산부인과에 초토화를 부른 포괄수과제(DRG)와 다름 없는 '진료비 세트 할인 제도'라고 꼬집으며 "오히려 의료 현장에서 환자 및 의료진의 만족도를 더욱 떨어뜨리고 환자와 의료진 간 신뢰를 저해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묶음별 수가' 제도가 도입될 시 의료의 질적 향상보다 양적 성과를 우선시하는 구조로 변질될 수 있다는 점도 언급, "의료진은 진료 건수를 늘리고 패키지에 포함된 치료 항목을 빠르게 처리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복잡한 치료나 추가적인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도 적절한 보상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점도 나왔다.

내과의사회는 "1차 의료기관의 현실을 충분히 이해하지 않고 일방적인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의료계와의 협력을 더욱 어려운 상황으로 만들 것"이라고 경고하며 "'묶음 수가제' 정책은 반드시 원점에서 재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