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사회 "대규모 유급·제적 발생하면 면허 걸고 보호할 것"
"제적 유보하고 근본적 문제 해결 위해 의료계와 대화해야" 강조
정부와 대학의 복학 압박으로 제적 위기에 놓인 의대생을 위해 선배 의사들이 '면허'를 걸었다.

서울시의사회는 "의대생의 결정을 전적으로 신뢰하고 적극 지지한다"라며 "무슨 일이 있어도 의대생이 제적당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대규모 유급 제적 사태가 발생하면 의사면허를 걸고 의대생 보호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27일 밝혔다.
교육부는 이달 말까지 의대생이 복학하지 않으면 학칙을 엄격히 적용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전국 40개 의대 중 대다수 대학이 이번 주를 의대생 복귀 마감 시한으로 설정하고 제적 예정 통보서를 보내는 등 조치를 하고 있다.
연세대·연세대원주·고려대·경북대·차의과대를 포함한 총 25곳의 의과대학이 지난 21일 복학 신청 접수를 마감했고, 나머지 15곳도 이달로 복귀 시한을 정했다.
서울시의사회는 "이번 사태 원인은 정부의 일방적 의대정원 증원으로 촉발된 의료농단 사태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이번 사태 주범인 정부와 여당은 아무런 해결책도 내놓지 못한 채 젊은의사와 의대생의 꿈을 짓밟는 것도 모자라 학교에 복귀하지 않으면 학칙에 따라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엄포를 내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와 대학이 무조건 강압과 압박으로 일관하며 학생을 벼랑 끝으로 몰아세운다면 결국 장기적으로 의료 붕괴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는 경고도 더했다.
정부와 대학 총장은 제적 조칙을 일단 유보해야 한다며 학생을 지키는 게 우선이라고 호소했다. 서울시의사회는 "의대 총장 및 교수들은 학생이 어떤 선택을 하든 옳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도편달해 주길 바란다"라며 "학생의 멘토로서, 어른으로서 이들이 어떤 위험에 처해 있더라도 보호해 줄 수 있는 목소리를 내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대한의사협회를 향해서는 "의료계 종주 단체로서 사상 초유의 의대생 제적 위기를 막기 위해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마련해 정부와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전했다.
서울시의사회는 "정부는 각 대학별로 다른 제적 시기를 통해 학교에 책임을 떠넘기기는 것을 즉각 중단하고 의료계와 대화를 통해 제적 여부를 최종 결정해야 한다"라며 "국가적 재난 상황에 제대로 된 정부라면 국민의 마음을 달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